인터넷 익스플로러(IE)는 6월 15일 지원이 종료되어 LGE.COM 홈페이지는 엣지(Edge)와 크롬(Chrome) 브라우저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원활한 사용을 위해 최적화된 브라우저를 설치하시면 홈페이지를 정상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
가전구독
소모품
고객지원
실내에서 음식을 조리했어요. 가습기가 옆에 있어요. 환기 시스템으로 외부 공기가 들어오고 있어요. PM1.0(먼지) 센서가 오염되어 있어요.
실외 미세 먼지 농도가 높은 겨울철에는 공기청정기를 작동해도 실내 먼지 수치가 줄어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먼저 환기 시스템을 통해 바깥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고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또 제품의 용량보다 넓은 곳에서 사용하면 공기 청정 효과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음식을 조리할 때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나요? ➔ 음식을 조리할 때는 창문을 열어 환기하고, 조리가 끝난 다음 공기청정기를 작동해주세요. 창문을 닫고 음식을 조리하면 미세 먼지가 발생합니다. 이때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면 기름 분자가 필터에 달라붙어 필터 교체 주기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음식을 조리할 때는 공기청정기를 끄고 창문을 열어 환기해주세요. 음식 조리가 끝난 다음 공기청정기를 켜면 필터 수명을 아끼면서 미세 먼지를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습니다. 공기청정기 주변에 가습기가 놓여 있나요? ➔ 퓨리케어 공기청정기에 적용된 먼지 센서는 초음파식/가열식 가습기에서 뿜어져 나오는 물 분자를 먼지 입자로 인식합니다. 초음파식/가열식 가습기와 동시 사용을 권장하지않습니다. 가습기 사용을 원하신다면 자연기화식 가습기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 초음파 가습기의 물 분자에 포함된 스케일은 필터 수명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PM1.0 센서를 청소한 지 오래되었나요? ➔ 센서에 먼지가 많으면 정확한 수치를 측정할 수 없습니다. PM1.0 센서는 두달에 한 번씩 청소해주세요. 공기청정기 덮개를 분리한 다음 [PM1.0 SENSOR]로 표시된 센서의 덮개를 열어주세요. 안쪽 10시 방향에 있는 렌즈를 면봉에 물을 약간 묻혀 닦아주세요. 마른 면봉으로 렌즈를 닦아 물기를 완전히 없앤 다음 공기청정기 덮개를 조립해주세요. ※ 더 자세한 방법이 알고 싶다면 먼지 센서 청소 방법이 궁금해요를 클릭해주세요. 잠깐! 더 알아보세요. 먼지 농도가 계속 [좋음]일 때 센서 상태 확인하기 1. PM 1.0 먼지 센서 정상 동작 테스트를 위하여 종이(A4지)를 준비해 주세요. 2. 제품 뒷면의 필터 커버 상단 양측면을 잡고 살짝 몸 쪽으로 당긴 후 들어 올려 분리하세요. 3. PM 1.0 먼지센서에 종이를 가까이하여 여러 번 (약5회 정도) 찢어서 찢어진 부분끼리 10~15초 동안 마찰시켜주세요. 4. 찢어진 부분끼리 마찰시켜 발생하는 먼지를 센서가 감지하면, 먼지 수치가 올라갑니다. 제품에서 위와 같이 반응할 경우 먼지 센서 기능은 정상이며, 만약 변화가 없다면 엔지니어 점검이 필요합니다. ※ 더 자세한 방법이 알고 싶다면 먼지센서 수치가 너무 작게 나와요를 클릭해주세요. 먼지 농도가 계속 [매우 나쁨]일 때 센서 상태 확인하기 1. PM1.0 센서 덮개를 열고 투명 테이프로 입구를 막은 채 10분 정도 공기청정기를 작동해주세요. 2. 미세 먼지 농도가 [좋음]으로 바뀐다면 센서는 정상입니다. 만약 변화가 없다면 LG전자 서비스 센터와 상담해주세요. 실외 미세 먼지 농도가 높은가요? ➔ 집 안의 실내 환기 시스템을 잠시 끈 다음 공기청정기를 작동해주세요. 외부 미세 먼지가 높은 날에는 바깥 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집 안의 환기 시스템을 닫거나 전원을 꺼주세요. 환기 시스템은 주로 베란다 쪽 창문 위나 다용도실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아파트의 경우 거실 벽면에 설치된 월패드에서 환기 시스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다음 클린부스터 기능을 선택하여 순환팬 세기를 [강] 또는 [터보]로 설정하면 좀 더 빠르게 실내 미세 먼지 농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는 공용으로 제작되어 구입한 제품과 다른 이미지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벤트/기획전
동영상
이미지
스토리
LG전자 뉴스룸
유의사항